정상 안압 녹내장(NTG)은 안압이 정상 범위(21mmHg 미만)임에도 불구하고 시신경 손상과 시야 결함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망막 신경섬유층이 얇아지고 시야가 점점 손실되는 진행성 병증입니다.
녹내장은 전 세계적으로 백내장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시력을 잃게 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래 그래프를 보면 한국에서 녹내장 환자수 추이 인데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NTG는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POAG)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들에게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또한, 여성에게 더 높은 유병률을 보입니다.
여기서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의 정의는 “전방각이 정상적으로 개방되어 있으면서 안압상승의 원인이 될 만한 뚜렷한 안과적 혹은 전신적 이상이 없으나 안압이 정상 수치보다 높은 상태를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이라고 합니다.” 이 말은 안과적으로 이상이 없으나 안압이 높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위험 인자
녹내장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는 안압 상승이지만, NTG에서는 안압이 정상이기 때문에 안압만으로 이 질환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비록 안압을 낮추는 치료가 효과를 보이기도 하지만, 많은 환자들에서 시신경 손상이 계속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NTG 환자들은 POAG 환자들보다 중심 각막 두께가 얇으며, NTG의 진행에 있어서는 혈관 기능 장애와 허혈(조직에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NTG 환자들은 편두통을 비롯한 두통 증상을 더 자주 경험하며, 전신 고혈압, 저혈압, 심장 부정맥 등 심혈관 조절 장애도 이 질환과 관련이 깊습니다. 특히, 야행성 저혈압과 수면 무호흡증(OSAS)은 NTG 환자에서 더 높은 유병률을 보이며, 이로 인해 시신경 손상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NTG 환자들은 중심 망막 정맥 혈류 속도가 감소하고 자율 기능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흡연과 높은 체질량 지수(BMI)와 같은 생활 습관 요인도 녹내장 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고혈압과 내당능 장애가 NTG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진단
NTG을 진단할 때는 편두통, 레이노 현상(손발이 차가워지는 증상), 머리 부상, 두통 같은 병력과 약물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혈압을 낮추는 약물(예: 베타 차단제) 사용도 고려해야 합니다.
NTG 진단에 사용하는 주요 검사 방법으로는 안압 측정, 고니오스코피(눈의 앞부분을 검사하는 방법), 시신경 검사, 광학 단층 촬영(OCT), 시야 검사가 있습니다. 안압은 보통 정상이지만, 두 눈 사이에 시신경의 변형 정도가 차이가 클 때 NTG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NTG 환자의 눈은 시야가 좁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망막에 특정 부분이 결손된 곳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근시가 심한 사람은 NTG에 더 취약할 수 있고, 이들은 시야 손실이 더 빨리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NTG는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POAG)과 유사한 시야 손실 패턴을 보이지만, NTG 환자는 더 국소적이고 깊은 손실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치료
NTG 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압을 낮추는 것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안압을 조금만 낮춰도 녹내장의 진행이 느려진다고 합니다. NTG 환자는 안압을 기존보다 30% 정도 낮춰서 12-14mmHg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약물 치료로는 주로 베탁솔롤 (Betaxolol)을 사용하여 안압을 낮추고, 시신경의 혈류를 개선합니다. 하지만, 다른 베타차단제나 아드레날린 계열 약물은 야간에 혈압을 너무 낮춰 시신경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프로스타글란딘 유도체(Prostaglandin analogues) 는 안압을 효과적으로 낮추는 약물이라 자주 사용되며, 도르졸라마이드-티몰롤 복합제(Dorzolamide-Timolol fixed combination) 도 좋은 선택입니다.
수술적 치료는 약물로 안압을 충분히 낮추지 못할 때 고려됩니다. 섬유주 절제술 (Trabeculectomy) 이나 레이저 치료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SLT) 가 그 예로, 이 방법들도 안압을 낮추는 데 효과적입니다.
출처: Mallick, Jyotiranjan, et al. "Update on normal tension glaucoma." Journal of ophthalmic & vision research 11.2 (2016): 204.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관성 치매 진단 방법과 치료 방법 (2) | 2024.10.24 |
---|---|
혈관성 치매란 무엇인가? (2) | 2024.10.23 |
출구 변비를 들어보셨나요? (0) | 2024.10.22 |
녹내장과 우울증의 관계?? (3) | 2024.10.21 |
Normal-Tension Glaucoma(정상 안압 녹내장) 에 관하여 (1) | 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