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평가된 주식: 가치주 투자 지표와 전략
주식 투자에서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 것은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중요한 전략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벤저민 그레이엄의 가치주 투자 지표를 중심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어떻게 찾고 평가할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주가순자산비율 (Price/Book, P/B) 0.1 이하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 중 하나는 주가순자산비율(P/B)입니다. 이 비율이 0.1 이하인 경우, 주가는 자산 가치 대비 매우 저평가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주식은 실제 자산 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순유동자산가치 (Net Current Asset Value, NCAV)
벤저민 그레이엄은 가치주를 고르는 지표로 순유동자산가치(NCAV)를 제시했습니다. NCAV는 유동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으로 계산됩니다. 그레이엄은 NCAV가 시가총액보다 큰 경우, 즉 주가가 NCAV의 67% 이하인 경우 회사가 저평가된 상태라고 판단했습니다. 이러한 종목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큰 수익을 올렸습니다.
실제로 뉴욕주립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1970년부터 1983년까지 NCAV 조건을 충족하는 주식을 매수하고 1년 동안 보유했을 때 평균 29.4%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NCAV를 활용한 가치주 투자 전략이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줍니다.
방어적 투자 지표: P/E와 P/B
그레이엄은 《현명한 투자자(The Intelligent Investor)》에서 방어적 투자 지표로 P/E와 P/B를 강조했습니다. P/E가 15 이하이고 P/B가 1.5 이하인 주식이 적당하다고 제시했습니다. 더 구체적으로는 P/E가 15 미만이면 P/B가 더 높아도 되며, P/E와 P/B를 곱한 값이 22.5 이하인 주식을 추천했습니다.
샤프지수
샤프지수(Sharpe Ratio)는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변동성을 고려해 평가하는 지표로, 높을수록 좋은 성과를 의미합니다. 샤프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text{샤프지수} = \frac{\text{포트폴리오 수익률} - \text{벤치마크 수익률}}{\text{포트폴리오 수익률의 표준편차}}$$
벤치마크 수익률은 비교 대상이 되는 수익률로, 국채 금리나 S&P 500의 수익률이 이에 해당합니다.
P/C 비율
P/C(Price to Cash Flow) 비율을 기준으로 주식을 분류했을 때, P/C 하위 50%의 주식들이 상위 50%에 비해 월등히 높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이는 가치주를 고를 때 P/C가 낮은 주식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수익률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종합적인 가치주 투자 지표
다음은 가치주 투자에서 살펴봐야 할 종합적인 지표들입니다:
- P/B, P/E, P/S, P/C: 각각 낮을수록 장기적으로 수익률이 좋습니다.
- 소형주: P/B, P/E가 각각 낮을 때 소형주일수록 장기적으로 수익률이 좋습니다.
- 샤프지수: 변동성까지 고려한 지표로 높을수록 좋습니다.
- P/S 하위 50% 주식: 시장수익률을 초과한 비율은 10년 단위로 보았을 때 95%에 달합니다.
- P/E 15 이하, P/B 1.5 이하: 최근 3년 평균 이익 기준으로 적당한 수준입니다.
이러한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다면, 장기적으로 안정적이고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벤저민 그레이엄의 가치주 투자 전략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표들을 활용해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입니다.
Python Coding
위 지표를 yahoo finance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확일할 수 있다.
import yfinance as yf
# 애플(AAPL) 주식 정보 가져오기
ticker = "AAPL"
stock = yf.Ticker(ticker)
hist = stock.history(period="1d") # 최근 1일간의 주식 데이터 가져오기
last_fetch_date = hist.index[-1] # 데이터 가져온 날짜 확인
info = stock.info # 주요 투자 지표 가져오기
balance_sheet = stock.balance_sheet # 주요 재무제표 가져오기
current_assets = balance_sheet.loc["Current Assets"] # 유동자산 (Current Assets) 가져오기
total_liabilities = balance_sheet.loc["Total Debt"] # 총 부채 (Total Liabilities) 가져오기
ps_ratio = info.get("priceToSalesTrailing12Months") # 주가매출액비율 (Price/Sales, P/S)
pb_ratio = info.get("priceToBook") # 주가순자산비율 (Price/Book, P/B)
ev_to_ebitda = info.get("enterpriseToEbitda")# EV/EBITDA
peg_ratio = info.get("pegRatio") # 주가수익성장비율 (PEG Ratio)
roe = info.get("returnOnEquity") #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ROE)
debt_to_equity = info.get("debtToEquity") # 부채비율 (Total Debt/Equity)
eps = info.get("trailingEps") # 주당순이익 (EPS)
book_value_per_share = info.get("bookValue") # 주당순자산 (Book Value Per Share)
currnet_price = info.get('currentPrice') # 현재 주가 currentPrice
ncav = current_assets[0] - total_liabilities[0] #순유동자산가치 (Net Current Asset Value, NCAV)
print(f"\n데이터 가져온 날짜: {last_fetch_date}")
# 결과 출력
print(f"{ticker} 의 주요 투자 지표:")
print(f"순유동자산가치 (Net Current Asset Value, NCAV) : {ncav}")
print(f"현재 주가 (Current Price): {currnet_price}")
#벤저민 그레이엄의 순유동자산가치
if currnet_price > ncav*0.67:
print("순유동자산가치에 의해 회사가 저평가됨")
else:
print("순유동자산가치에 의해 회사가 저평가 되지 않음")
print(f"주가매출액비율 (P/S): {ps_ratio}")
print(f"주가순자산비율 (P/B): {pb_ratio}")
if pb_ratio <=0.1:
print("P/B 에 의해 자산 가치 대비 매우 저평가 -> 높은 수익률 기대")
else:
print("P/B 에 의해 저평가 되지 않음")
print(f"EV/EBITDA: {ev_to_ebitda}")
print(f"주가수익성장비율 (PEG Ratio): {peg_ratio}")
print(f"자기자본이익률 (ROE): {roe}")
print(f"부채비율 (Total Debt/Equity): {debt_to_equity}")
print(f"주당순이익 (EPS): {eps}")
print(f"주당순자산 (Book Value Per Share): {book_value_per_share}")
출력 결과
데이터 가져온 날짜: 2024-06-24 00:00:00-04:00
AAPL 의 주요 투자 지표:
순유동자산가치 (Net Current Asset Value, NCAV) : 32478000000.0
현재 주가 (Current Price): 208.14
순유동자산가치에 의해 회사가 저평가 되지 않음
주가매출액비율 (P/S): 8.363331
주가순자산비율 (P/B): 43.030804
P/B 에 의해 저평가 되지 않음
EV/EBITDA: 24.833
주가수익성장비율 (PEG Ratio): 3.43
자기자본이익률 (ROE): 1.4725
부채비율 (Total Debt/Equity): 140.968
주당순이익 (EPS): 6.44
주당순자산 (Book Value Per Share): 4.837
이런식으로 제일 상단에 ticker 부분만 수정하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애플은 24년 6월 24일 기준으로 저평가 되지 않은 주식이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경제 초보 공부하자!! 리스크 대비 편 (0) | 2024.07.22 |
---|---|
[경제] 경제 초보 공부하자!! 투자 지표 성장주, 가치주 편 - (3) (0) | 2024.06.28 |
[경제] 경제 초보 공부하자!! 투자 지표 성장주, 가치주 (with AAPL) 편 - (1) (1) | 2024.06.19 |
[경제] 경제 초보 공부하자!! 투자 지표 애플(AAPL) 적용 편 (2) | 2024.06.16 |
[경제] 경제 초보 공부하자!! 투자 지표 편 (2) | 2024.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