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야후 파이낸스에서 애플(AAPL) 의 투자 지표를 보려고 합니다.
Apple Inc. (AAPL) Stock Price, News, Quote & History - Yahoo Finance
Find the latest Apple Inc. (AAPL) stock quote, history, news and other vital information to help you with your stock trading and investing.
finance.yahoo.com
위 URL 에 접속을 하면 아래의 화면을 볼 수 있다.
이 화면에서 Financials 탭으로 접속을 하게 되면 아래의 화면을 볼 수 있다.
이익
재무제표에서 꼭 살펴봐야 할 항목은 바로 '이익'입니다. 그 중에서도 '영업이익(Operating Income)'과 '순이익(Net Income)'은 매우 중요합니다. 순이익은 '기본 주당순이익(Basic EPS)'이나 '희석 주당순이익(Diluted EPS)'으로 간단히 확인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EBIT'이나 'EBITDA'를 참고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애플의 경우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면에서 성장이 다소 정체된 것으로 보입니다.
cf ) 여기서 TTM은 회사 운영의 마지막 12개월을 다루는 재무제표 세트 입니다.
기업의 성과를 평가할 때는 매출액이 중요한 지표입니다. '총매출액(Total Revenue)'을 확인하고,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매출총이익(Gross Profit)'도 평가의 기준이 됩니다. 애플의 경우 매출액 측면에서도 성장이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납니다.
부채
Balance sheet 를 클릭하면 부채 관련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자산(Total Assets)
재무상태표에서는 '부채(Total Liabilities)'와 '자본(Total Equity)'의 합이 '자산(Total Assets)'과 같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채비율(Debt to Equity Ratio)
재무상태표에서 도출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는 '부채비율(Debt to Equity Ratio)'이 있습니다. 이는 '총부채(Total Debt)'를 '자기자본(Total Equity)'으로 나눈 값입니다.
운전자본(Working Capital)
'운전자본(Working Capital)'은 '유동자산(Current Assets)'에서 '유동부채(Current Liabilities)'를 뺀 값으로, 이는 회사의 단기적인 현금 지급 여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재무상태표는 손익계산서와 함께 볼 때 투자 지표를 도출하는 데 더욱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ROE(Return on Equity)나 ROA(Return on Assets)와 같은 지표는 각각 '자본(Equity)'과 '자산(Assets)'을 의미합니다.
EPS(Earnings Per Share)와 BPS(Book Value Per Share)와 같은 지표도 중요합니다. EPS는 손익계산서의 순이익에서, BPS는 재무상태표의 자기자본에서 발행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매출총이익에서 자본을 나눈 GP/A(Gross Profit/Assets)도 유용한 지표입니다.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영업활동 현금흐름(Operating Cash Flow)'입니다. 이 값이 플러스라면 회사가 영업을 통해 돈을 잘 벌고 있다는 뜻입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Investing Cash Flow)'은 마이너스라면 투자를 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Financing Cash Flow)'이 마이너스라면 빚을 잘 갚고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이 많이 사용하는 '잉여 현금흐름(Free Cash Flow)'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에서 자본적 지출을 뺀 값으로, 실제 사용할 수 있는 현금에 가장 가까운 값입니다. 이는 주주에게 배당을 줄 수 있는 능력과 직결됩니다.
통계(Statistics)
야후파이낸스의 '통계(Statistics)' 메뉴에서는 다양한 투자 지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가수익비율(P/E)'은 후행(Trailing)과 선행(Forward)으로 나뉘며, 후행지표는 과거 성과를, 선행지표는 미래 전망을 나타냅니다. 투자할 때는 선행지표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중요한 지표로는 '주가매출액비율(Price/Sales)'과 '주가순자산비율(Price/Book)'이 있습니다. 'EV/EBITDA'도 중요한 가치 평가 지표로, 이 값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것으로 봅니다. '주가수익성장비율(PEG Ratio)'도 중요한 지표입니다. 애플은 성장주로 분류되어 주가수익성장비율이 높게 나타나며, 이는 고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애플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82%로 매우 높아, 고평가가 당연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부채비율도 확인할 수 있으며, 애플의 경우 169%로 적정 수준입니다. 배당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플은 성장주에 가까워 배당률과 배당성향이 높지 않습니다. 주당순이익(Diluted EPS)과 주당순자산(Book Value Per Share)도 살펴봐야 합니다.
이런 다양한 재무 지표를 통해 기업의 재무 상태와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경제 초보 공부하자!! 투자 지표 성장주, 가치주 편 - (3) (0) | 2024.06.28 |
---|---|
[경제] 경제 초보 공부하자!! 투자 지표 성장주, 가치주 편 - (2) (0) | 2024.06.25 |
[경제] 경제 초보 공부하자!! 투자 지표 성장주, 가치주 (with AAPL) 편 - (1) (1) | 2024.06.19 |
[경제] 경제 초보 공부하자!! 투자 지표 편 (2) | 2024.05.26 |
한국은행 API 활용하기 (with Python) (0) | 2024.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