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를 대비하라, 헤지(Hedge)
위험을 분산하라
리스크 관리는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특히 자산 간의 적절한 헤지를 통해 변동성을 줄이고 손실을 방지하며 수익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가 안정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운용하는 데 필수적인 전략입니다.
대표적인 헤지
일반적으로 주식과 채권의 가격은 장기적으로 반대로 움직입니다. 즉, 주식의 가격이 오를 때는 채권의 가격이 떨어지고, 채권의 가격이 오를 때는 주식의 가격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 자산을 이용하면, 주식과 채권을 조합해 리스크를 상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선물(Futures Contract)과 옵션(Option)을 통해서도 헤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선물은 원유, 가스 등과 같은 자산의 미래 가격을 예측하여 미리 계약을 체결하는 일종의 보험입니다. 옵션은 특정 자산을 미리 매수하고, 만기일에 해당 자산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거래입니다. 이 두 가지 금융 도구를 잘 활용하면 변동성을 줄이고 자산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오를 때 올라타고 내릴 때 빠지자, 모멘텀 투자
시장에는 ‘모멘텀(momentum)’ 현상이 있습니다. 모멘텀은 주가가 상승할 때 계속 오르고, 하락할 때 계속 내리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는 유진 파마의 ‘효율적 시장 가설’을 무색하게 만드는 시장의 이례적인 현상 중 하나로, 많은 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모멘텀 투자 전략은 크게 ‘절대 모멘텀 전략’과 ‘상대 모멘텀 전략’으로 나뉩니다. 절대 모멘텀 전략은 특정 자산의 최근 수익률을 확인하여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며, 상대 모멘텀 전략은 여러 자산의 수익률을 비교해 어떤 자산에 투자할지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절대 모멘텀 전략은 상승 추세에 있는 자산에 투자하고, 하락 추세에 있는 자산에서는 투자를 피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손실을 줄일 수 있지만, 갑작스러운 시장 반등에 대한 기회를 놓칠 수 있는 단점도 있습니다.
상대 모멘텀 전략은 여러 자산의 수익률을 비교하여 더 높은 수익률을 보이는 자산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특정 자산의 인기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가정에 기초하며, 수익률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비중 조절의 마법, 리밸런싱과 자산 배분
균형을 잡아라, 리밸런싱
리밸런싱은 포트폴리오 내 각 종목의 비중을 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2018년에 채권에 50%, 주식에 50%를 투자한 상황에서, 2019년 채권 가격이 상승하고 주식 가격이 하락하여 채권 비중이 55%, 주식 비중이 45%가 되었다면, 리밸런싱을 통해 다시 채권과 주식의 비중을 50%로 맞추는 것입니다.
이는 채권을 일부 매도하고 주식을 추가 매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리스크를 최소화하라, 자산 배분
자산 배분은 다양한 자산을 조합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각 자산의 리스크와 수익률 특성을 고려해 투자 비중을 조절함으로써, 전체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입니다.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함으로써 특정 자산의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2.0 시대 - 에너지 정책 (3) | 2024.11.18 |
---|---|
트럼프 2.0 시대 - 제조업 (3) | 2024.11.17 |
[경제] 경제 초보 공부하자!! 투자 지표 성장주, 가치주 편 - (3) (0) | 2024.06.28 |
[경제] 경제 초보 공부하자!! 투자 지표 성장주, 가치주 편 - (2) (0) | 2024.06.25 |
[경제] 경제 초보 공부하자!! 투자 지표 성장주, 가치주 (with AAPL) 편 - (1) (1) | 2024.06.19 |